2024년 11월 네이버 플러스 멤버십, 12월 오징어게임2 런칭 등의 영향으로 최근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광고 스탠다드형) 구독자가 급격히 늘어났다. 주가가 고공행진을 하는 것을 보아, 글로벌적으로 호재가 많은 듯 하다.ㅎㅎ
광고 요금제 출시 초반에는 높은 단가와 제한적인 판매 정책으로 광고주들의 반응이 다소 미적지근했다. 하지만 최근 성장세와 더불어 광고 정책에 있어서도 다양한 변화를 시도하는 모습이 광고주들을 설득하기 시작했다. 비싼 단가에 가려져 있던 넷플릭스의 장점(우수한 브랜드 세이프티, 확실한 주목도, 혼잡하지 않은 광고 컨디션 등)이 보이기 시작했고, 수요가 늘어나는 것이 체감되기 시작한다. 그래서 넷플릭스 광고를 고민하는 브랜드들을 위해, 2025년 넷플릭스 광고 A to Z를 준비해보았다.
1.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현황
- 신규 가입자 중 광고 요금제를 선택하는 비중 56%
- 국내 광고 요금제 유저수 출시 시점 대비 30배 성장
- 광고 요금제 전 세계 월간 활성 이용자 수 7,000만명을 달성
2. 넷플릭스 광고 요금제 이용자 분석
- 광고요금제 가입자 주연령층은 3549세
- 높은 가구 소득과 소비력 보유
- TV 스크린을 통해 주로 시청 (최근 기준 광고 요금제 가입자의 56%가 TV로 시청)
3. 넷플릭스 광고 효과 소개
- 3시간 이상의 높은 몰입감을 선사하는 넷플릭스 : 높은 광고 주목도 선사
- 광고 수용도 1위 : 넷플릭스 광고는 긍정적이다. 별로 거부감이 없다.
- 넷플릭스 광고를 하는 브랜드/제품은 신뢰가 가고, 트렌디 하고, 구매하고 싶다.
- 낮은 광고 혼잡도, 광고 불쾌감, 광고 회피도로 이용자, 광고주 모두에게 긍정적
4. 넷플릭스 광고 상품 요약
- 비디오 광고(IN VIDEO) : 넷플릭스 콘텐츠 시작 직전(프리롤) 혹은 중간광고(미드롤) 형태로 노출되는 가장 기본적인 영상 광고
(기본적인 소재 비율은 16:9 (1080p FHD) / 노출 디바이스는 TV, 모바일(태블릿), 데스크톱 / Non-Skip 광고의 포멧)
- QR 코드 광고 : 비디오 광고 혹은 일시정지 광고(PAUSE ADS)에 QR 코드가 함께 노출되는 광고
- 일시정지 광고(PAUSE ADS) : 콘텐츠 일시정지 후 5초간 활동이 없을 때 노출되는 광고 (유저 평균 하루당 5회 일시정지)
- 몰아보기 광고(KEEP WATCHING) : 연속 시청 후 4번째 에피소드의 시작 부분에 광고가 재생됩니다
위 상품과 더불어 프리미엄 형태의 상품이 있다.
- 싱글 타이틀 스폰서십 (독점 타이틀 스폰서십) : 스폰서십을 진행하는 타이틀 런치 후 28일간 프리롤 SOV 100% 점유 (넷플릭스 오리지널 시리즈 한정), 맞춤형 6초 범퍼+프리롤 or 범퍼 단독으로 구성
- 브랜드 파트너십 : 이번 오징어게임2 x 기아자동차 사례와 같이, 타이틀과 브랜드가 협업해 다양한 방식으로 커뮤니케이션 하는 상품, 자세한 협의 내용은 알 수 없지만 정형화된 상품은 아닌 것 같고, 협의에 따라 보다 크리에이티브하게 노출 가능할 것으로 예상
- First Impression (신규) : 넷플릭스 회원이 접하는 첫 번째 프리롤 광고, 독점형태는 아니며 최소 7일 집행 필요한 상품
5. 넷플릭스 광고 타겟팅
성·연령, 넷플릭스 Top10 콘텐츠, 콘텐츠 장르, 지역, 시간대, 첫 시청 노출 (F.I), 민감 콘텐츠 디타겟팅, 디바이스, 노출 위치 등 넷플릭스의 타겟팅 옵션은 꽤나 다양한 편이다. 다만 아직까지 광고 인벤토리가 크지 않아, 콘텐츠 단위의 타겟팅은 불가하고, 여러가지의 타겟팅을 동시 적용한다면 전반적으로 인벤토리 체크는 필수이다. 또한 관심사 기반의 오디언스 타겟팅까지는 불가하다.
별다른 타깃팅이 없다면 제휴 콘텐츠 & 넷플릭스 오리지널에 모두 노출된다. 단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의 경우, 미드롤 노출 시 몰입감을 저해할 수 있으므로 공개 후 18개월까지 프리롤 광고만 노출된다.
6. 2025년 넷플릭스 오리지널 라인업
곧 공개될 넷플릭스 오리지널을 위주로 설명하자면,
아이유, 박보검 주연의 <폭싹 속았수다>, 마지막 시즌을 앞두고 있는 <너의 모든 것 시즌5>, 메가 히트작 <오징어게임 시즌3>, <피지컬100:아시아> 등이 예정되어 있다. 아무래도 콘텐츠의 흥행이 넷플릭스 트래픽을 늘리는데 결정적인 요인을 하기에, 캠페인 예정 시점 어떠한 콘텐츠들이 예정되어 있을지 라인업 체크는 필수이다.
이상으로 넷플릭스 광고의 A to Z를 알아봤다.
**추가 궁금한 사항이 있다면 댓글을 부탁 드립니다.
'Media > 미디어탐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디어탐구] 스카이스캐너 광고 상품 소개 A to Z (116) | 2025.02.20 |
---|---|
[미디어탐구] 스레드(Threads) 완벽 정리 (0) | 2023.08.16 |
[미디어탐구] 유튜브 상위 노출을 위한 vidIQ 소개 (주요 기능, 활용법, 확장프로그램 설치 등) (0) | 2023.04.11 |
[미디어탐구] 4월 개국 예정, 신규 채널 SBS Golf2 소개 (0) | 2023.03.29 |
[미디어탐구] SBS Golf가 KPGA를 품기까지의 여정 (0) | 2023.03.29 |